반응형

2025/03 62

용비어천가: 하늘로 나는 용의 노래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넘어가는 격변의 시기,한반도에 새로운 왕조가 등장합니다.이 왕조를 찬양하고, 그 정통성을 널리 알리고자조선의 지식인들이 마음을 모아 한 편의 노래를 만들어냅니다.그것이 바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입니다.오늘은 용비어천가를 주제별로 흥미롭게 풀어보겠습니다!🐉 1. 용비어천가란 무엇인가?"용비어천가"는 조선의 창업을 기리고 왕실의 정통성을 노래한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서사시입니다.정인지, 권제, 안지 등이 집필하여1447년(세종 29년)에 완성되었죠.이 노래는 총 12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세종대왕이 한글 창제를 기념하며 만든 것이라 더욱 의미가 깊습니다.왕조의 찬란한 도약을 하늘로 나는 용에 비유하여 노래하고 있습니다.🌊 2. 시대적 배경과 창작 의도조선은 고려를 무너..

마인드 2025.03.21

신명기 20

📖 신명기 20장 (개역한글판)네가 나가서 적군과 싸우려 할 때에 말과 병거와 백성이 너보다 많음을 볼지라도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애굽 땅에서 너를 인도하여 내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하시느니라너희가 싸울 곳에 가까이 가거든 제사장은 백성에게 나아가서 고하여그들에게 이르기를이스라엘아 들으라너희가 오늘 너희의 대적과 싸우려 나왔으니 마음에 겁내지 말며 두려워하지 말며떨지 말며 그들로 인하여 놀라지 말라너희 하나님 여호와는 너희와 함께 행하시며너희를 위하여 너희 대적과 싸우고 너희를 구원하실 것임이니라 할 것이며책임자들은 백성에게 말하여 이르기를새 집을 건축하고 낙성하지 못한 자는 돌아가서 그 집으로 돌아갈지니전사하면 타인이 낙성할까 하노라포도원을 만들고 그 과실을 먹지 못한 자도 돌아갈지니전사하..

마인드 2025.03.21

이규보의 백운소설 - 옛이야기에 담긴 삶의 지혜와 풍자

📚 백운소설이란?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1168~1241)**가 쓴 **"백운소설(白雲小說)"**은당시 현실을 풍자하며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삶의 지혜를 전하는 설화집입니다.총 16편의 짧은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으며,주로 권력자와 백성, 현실과 이상, 권선징악 등을 다루고 있죠.🪶 1. 작품의 배경과 이규보의 철학이규보는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문학적 재능뿐 아니라 사회 비판과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줍니다.백운소설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부조리한 현실과 인간 본성에 대한 풍자와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그는 당시 권문세족과 지배층의 횡포를 비판하며,백성들의 고단한 삶과 억울함을 이야기로 풀어냈죠.이규보는 **백운거사(白雲居士)**라는 별명을 사용하며,자연 속에서 자유로운 정신과 순수한 ..

마인드 2025.03.20

신명기 19장

신명기 19장 (개역한글판)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열국을 멸하신 후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땅을 네게 주어 얻게 하시고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열국을 쫓아내신 후에 네가 그들의 성읍과 가옥에서 거할 때에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시는 땅 가운데서 세 성읍을 너를 위하여 구별하고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어 얻게 하시는 땅을 삼 등분하여모든 살인자가 그리로 도피하게 하라살인자가 그리로 도피하여 살 만한 경우는 이러하니곧 누구든지 부지중에 그 이웃을 죽였을 때에그와 그 이웃이 전부터 원수가 아니던 자라야 할 것이니라가령 사람이 그 이웃과 함께 벌목하러 산에 들어가서도끼를 휘둘러 나무를 찍을 때에도끼 날이 자루에서 빠져 나와 그 이웃을 쳐서 죽게 한 경우에그 사람은 그 성읍 중 하나로 도피하여 ..

마인드 2025.03.20

고려의 문인이 들려주는 유쾌한 이야기 보따리, 이인로의 〈파한집〉

고려 시대에도 현대와 마찬가지로 문인들의 모임이 활발했는데요,오늘 소개할 책은 고려 문인들의 유쾌한 일상과 지혜가 담긴 이야기 모음집입니다.바로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이죠.지금으로 치면 일기이자 에세이이자 명문장 모음집 같은 책입니다.여유로운 시간을 깨뜨린다(파한, 破閑)는 제목처럼,지루함을 날려버릴 만큼 재미있고도 교훈적인 이야기들이 가득합니다.⸻1. 파한집의 탄생 배경과 저자 이야기(1) 파한집의 저자, 이인로는 누구일까?이인로(1152~1220)는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문장가로서도 유명했으며 당대 최고의 문필가 중 한 명이었습니다.그는 관직 생활을 하면서도 문학적 열정을 놓지 않았고,특히 자연과 벗 삼아 시를 읊고 글을 쓰는 것을 즐겼죠.(2) 파한집의 탄생 배경이..

마인드 2025.03.19

신명기 18장

신명기 18장은 레위 지파의 기업과 역할, 참된 선지자와 거짓 선지자의 구별, 그리고 하나님께서 세우실 참 선지자에 대한 예언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신명기 18장 (개역한글판)1. 레위 지파의 기업과 몫 1. 제사장과 레위 사람, 곧 레위의 온 지파는 이스라엘 중에 분깃도 없고 기업도 없을지니, 그들은 여호와의 화제물과 그 기업을 먹을 것이라. 2. 그들이 그 형제 중에서 기업을 받지 말 것은 여호와께서 그들의 기업이 되심이라. 그가 그들에게 말씀하신 것 같으니라. 3. 제사장이 백성에게서 받을 몫은 이러하니, 곧 그들이 소나 양을 잡을 때에 제사장에게 주는 것, 곧 어깨와 두 볼과 위장이라. 4. 또 너희의 곡식과 포도주와 기름의 첫 열매와 양털의 첫 깎은 것을 그에게 줄 것이니, 5. 이는 네 하나님..

마인드 2025.03.19

고려 가객 정서의 슬픈 노래, 〈정과정〉 이야기

한 번쯤 사랑에 가슴 아파본 적 있나요?오늘 소개할 이야기는 고려 시대 한 남자의 가슴 시린 사랑 이야기입니다.그 주인공은 바로 정서(鄭敍), 그리고 그의 애절한 노래 **〈정과정(鄭瓜亭)〉**입니다.이 노래는 충신의 절개와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충성을 노래하면서도,어딘가 사랑을 잃고 슬퍼하는 연인의 마음이 엿보이는 작품입니다.⸻1. 비운의 충신, 정서의 눈물고려 시대 문신이었던 정서는 임금에게 충성을 다했지만,어떤 이유로 인해 억울하게 귀양을 가게 되었습니다.그는 유배지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중,자신의 슬픔과 억울함을 노래로 승화시키기로 결심했습니다.그렇게 탄생한 노래가 바로 **〈정과정〉**입니다.이 작품은 향가 형식의 고려 속요로,임금에 대한 절절한 충성심과 회복되지 않는 억울함을..

마인드 2025.03.18

신명기 17장

신명기 17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규례와 법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제사에 관한 규례, 재판의 공정성, 왕을 세우는 규범 등이 강조됩니다.신명기 17장 (개역한글판)1. 흠 있는 제물 금지 1. 흠이나 악질이 있는 소나 양은 아무것도 네 하나님 여호와께 드리지 말지니 이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 가증한 것이 됨이니라.⸻2. 우상 숭배에 대한 처벌 2.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성읍 중 하나에서든지 너희 가운데서 남자나 여자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그 언약을 어기고, 3. 가서 다른 신들을 섬겨 그것에게 절하며, 내가 명하지 아니한 해와 달이나 하늘의 만상을 섬기거든, 4. 그것이 네게 알려지거든 네가 자세히 조사하여 볼지니라. 만일 그 일의 진상이 확실하여 이스라..

마인드 2025.03.18

균여의 〈보현십원가〉: 마음을 밝혀주는 열 가지 서원 이야기

고려 시대 불교 문화의 꽃을 피운 균여대사(923~973), 그가 남긴 작품 중 가장 빛나는 것은 단연 **〈보현십원가〉**입니다.이 작품은 불교에서 대자비와 덕행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의 열 가지 서원을 노래한 가사입니다.오늘은 이 작품을 주제별로 흥미롭게 풀어보며 균여대사의 마음과 그 가르침을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1. 균여대사와 〈보현십원가〉: 화엄 사상의 꽃균여대사는 고려 초기의 뛰어난 승려로, 화엄 사상을 기반으로 한 불교 사상가이자 시인이었습니다.**〈보현십원가〉**는 그가 화엄경의 사상을 바탕으로 지은 향가로, 10가지 서원을 노래한 작품입니다.이 노래는 당시 평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향찰(鄕札)을 사용하여 한글과 한자를 섞어 기록했습니다.보현보살의 열 가지 서원을 통해 불교의 실천적 ..

마인드 2025.03.17

신명기 16장

성경의 신명기 16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3대 절기(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에 대한 규례와 절기 때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신명기 16장 (개역한글판)유월절 규례 (1-8절) 1. 아빕월을 지켜 네 하나님 여호와의 유월절을 행하라. 이는 아빕월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밤에 너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음이라. 2. 여호와께서 자기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소와 양으로 네 하나님 여호와께 유월절 제사를 드리되, 3. 유교병을 그것과 함께 먹지 말고 이레 동안 무교병 곧 고난의 떡을 그것과 함께 먹으라. 이는 네가 애굽 땅에서 급히 나왔음이라. 이같이 행하여 네 평생에 항상 네가 애굽 땅에서 나온 날을 기억할 것이니라. 4. 그 이레 동안에는 네 사방 모든 지경 내에 누..

마인드 2025.03.17
반응형